전체 글 4273

자고산 트랙킹

2025년 3월 14일 일주일에 5번 오르는 자고산이다.오늘은 7시 30분에 올랐다.쉼터에서 40m 윗쪽에서 서쪽 덕산황씨 묘를 지나 능선을 오르다 보니어제는 피지않았는데 오늘은 생강나무 한그루에 꽃이 피어났다.정상에 오르니 6.25전젱 왜관지구 303고지 전투미 육군 제1기병사단 한. 미전몰장병추모비에 추모화환이 놓여있다.어제 칠곡군수와 대구지방보훈청장이 다녀 갔나보다...전망대에 올라 조금 쉬었다가 임도를 타고 하산하는중뚜르륵 뚜르륵 소리에 하늘을 바라보니 흑두루미때가북쪽으로 비행하며 제일 앞에선 우두머리가 뚜르르뚜르르소리내며 안내하며 질서 정연하게 이동하는 두루미 때~~ 이제 봄이 오는가 보다~~~임도를 타고 내려오다 다시 서쪽 능선을 타고 내려오다 쉼터를 지나다시 임도에 들어서니 앞을 날아 나뭇가..

경북 고령군 쌍림면 하거1리 학골 양천최씨와 야성송씨와의 관계

양천최씨 대구 종친회에서 모셔온글 경북 고령군 쌍림면 하거1리 학골 양천최씨 감사공 삼현사 및 제실과 야성송씨와의 관계경북 고령군 쌍림면 하거1리 학골 하거1리 (삼현사) 참판공파 20세손 최제현 위원장님은 강원도 춘천시 근화동 742-8 거주하고 계십니다 삼현사 참판공 감사공 종친님과 제실 앞에서 기념사진  양천최씨 감사공 제실전경 감사공 종친님들과 제실에서 족보편찬 경남 합천군 야로면 구정리 야로면사무소 감사공 최동원님 참판공 최제현님께서 야로송씨 문중대표 기다림 야로송씨 산소 성묘(양천최씨 문중대표와 (고) 송수종 종친) 야로송씨 종친회장님 과 양천최씨 최제현님,야성송씨 14세 계(繼) 상호군 숙인 공암최씨(양천최씨) 감사공파 6세 최득형 할아버지 따님 묘비  야로송씨 제실에서 문중대표 총무님과 양..

뿌리 2025.02.13

자고산(303고지)의 상고대

자고산(303고지)의 상고대,아침 왜관 자고산(303고지)에 올랐다.어제 내린비와 정상에 흩날린 눈이 녹아상고대(얼음꽃)가 아름답게 피었다.정상에는 운무로 30m 앞이 보이질 않는다.정상 전망대 4층 계단에는 얼어 붙어 미끄러워 올라가기 힘들다.내려올때는 전망대 대리석 계단에서 미끌어져 구를뻔 했었다.전망대에서 내려와 하산하는 길에 야자 매트를 깔아 놓은 길에서 결국 엉덩방아를 찧었다.그래도 다치지 않아 다행이다. ㅎㅎ

풍경 2025.02.02

不遷位(불천위) 啞軒公(아헌공), 乙巳年 새해 茶禮 (차례 )

不遷位(불천위) 啞軒公(아헌공), 乙巳年 새해 茶禮 (차례 ) 2025년 1월 29일 (음력 1월 초하루)대구시 북구 매천동, 梅陽書院(매양서원) 상현사(尙賢祠)에서 12대조 不遷位(啞軒公)(불천위 아헌공) 할아버지와 祖妣(조비) 할머니의 차례를 올렸다. 나에게는 12대조가 되며, 돌아 가신지 약 400년이 된다. 아헌 할아버지는 향불천위이며, 선무원종공신이다(임란공신).* 을사년 새해 정월 초하루 09:00 큰댁에서 차례를 올린 후, 지천면 금호동에 있는 가족묘지에 다녀와서, 12:20분 대구 북구 매천동 梅陽書院(매양서원)으로 가서, 13:00 불천위 아헌 할아버지와 할머니의 차례를 梅陽書院(매양서원) 상현사(尙賢祠)에서 올렸다.(아침 눈발이 날리더니 날씨가 차가워 진다, 작년보다 제관들이 많이 줄어..

뿌리 2025.01.30

애국지사 박희광 선생 55주기 추모식

애국지사 박희광 선생 55주기 추모식일시 ;  2025년 1월 22일(수) 11:00~장소 :  성리학역사관 야은관 및 금오산 박희광 선생 동상주최 : 구미시주관 : 광복회 경북지부 구미시지회 오전 10시 10분 친구들과 왜관을 출발하여 구미시 성리학역사관으로애국지사 박희광 선생 55주기 추모식에 참석차 갔다.박희광 선생의 차남인 친구 박정용의 초대로 친구 백해석, 양칠상, 전해천과 참석했다.식전행사와 본행사를 이어 추모공연을 마치고, 박희광선생 동상에서 헌화 및 분향이 있었다. 식전행사 식전행사 식전행사 식전행사  식전행사  식전행사  식전행사 식전행사 박희광선생 공적보고(박희광 선생 차남 박정용) 유족대표 인사(박희광 선생 장남 박근용)  유족대표 인사(박희광 선생 장남 박근용)    추모공연(소프라..

문화 & 행사 2025.01.23

후트티(추장새)

2025년 1월 13일 낙동강 왜관 옛나루터 앞에서 만난 후트티 새. 후트티는 머리 위의 관 모양이 인디언 추장 같으며 긴부리로 땅속의 벌레들을 잡아먹는다.후트트 운다고 하여 후트티라 이름이 붙여졌다고 하며,머리 위에 관 모양이 인디안 추장 같다 하여 추장새로 불리기도 한다.여름 철새이나 요즘은 지구 온난화로 인해 여러 지방에서 볼 수 있다.독특한 외모로 세계인들에게 관심을 많이 받고 있는 새이기도 합니다

조류 2025.01.17

不遷位(啞軒公)(불천위 아헌공) 祭祀

不遷位(啞軒公) 祭祀2024년 1월 12일(음력 12월 13일)대구시 북구 매천동 梅陽書院(매양서원)에서不遷位(啞軒公)(불천위 아헌공) 할아버지 제사를 올렸다.나에게는 12대조가 되며, 돌아 가신지 약 400년이 되었다.이제는 시대의 변함인지 제관들이 자꾸만 줄어 간다.앞으로 얼마나 더 뿌리에 대한 애착들이 이어질지 서글퍼진다.아헌할아버지는 향불천위이며, 선무원종공신이다.*참고 : 불천위에는 국불천위와 향불천위 사불천위가 있다. 不遷位(啞軒公) 송원기(宋遠器)  직장공파(直長公派) 선무랑통례원(宣務郞通禮院) 인의(引儀) 응규(應奎)  의 손(孫), 원기(遠器) 초호 후촌(後村) 호 아헌(啞軒)은 교위(校尉) 사호  (師顥)의 차자(次子)이며, 종조부 충숙공(忠肅公) 희규(希奎) 호 야계  (倻溪)공과 숙..

뿌리 2025.0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