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 17

성주(星州) 고산정(高山亭) - 6

성주(星州) 고산정(高山亭) - 6 고산정(高山亭)의 유적(遺蹟) - 2 ● 봉강서원(鳳岡書院) 이 서원은 정조 10년(1786)에 고산정 북쪽 명곡(椧谷) 아래에 세워 야계(倻溪) 송희규(宋希奎) 선생의 위판을 봉안하고 신연(新淵) 송사이(宋師頤) 선생을 병향하였으며 원액(院額)은 번암(樊巖) 채제공(蔡濟恭)이 섰다. 헌종 4년(1838) 지반이 기울고 무너짐으로 손곡(遜谷) 야계선생 분암(墳庵)이 있는 곳으로 이건 했다. 분암은 선생이 1554년 정사(精舍)를 세우고 모년(暮年)의 유식소(遊息所)로 삼았으며 손자(孫子) 성암(省庵) 송유경(宋惟敬)이 1556년 뜻있는 학도들을 모아 강습(講習)하게 하던 곳으로 승도(僧徒)로 하여금 수호토록 하였으나 임진왜란 때 불타고, 광해 11년(1619) 야계선생..

뿌리 2024.04.15

성주(星州) 고산정(高山亭) - 5

성주(星州) 고산정(高山亭) - 5 고산정(高山亭)의 유적(遺蹟) - 1 ● 백세각(百世閣) 조선조 명종6년(1551)에 야계(倻溪) 송희규(宋希奎, 사헌부(司憲府) 집의(執義)가 양재역 벽서사건에 추론되어 을사명현(乙巳名賢)으로 전라도 고산(高山)으로 귀양을 갔다가 5년 만에 사면(赦免)되어 고향으로 방환(放還)하여 봉암산(鳳巖山)아래 봉황이 알을 품고 있는 포란지형(抱卵之形)의 길지(吉地)에 정면 7칸 측면 7칸 맞배지붕 입구(口)자 집을 지어 1552년에 완공하였으며 다시는 벼슬길에 나가지 않고 학문 강론에 힘쓰며 제현(諸賢)들과 교유하며 유유자적(悠悠自適) 하였다. 백세각(百世閣)이란 당호는 “백세청풍(百世淸風)”에서 따온 것인데 봉암산 아래 종기(宗基)를 정한 야계선생께서 앞으로 자손들이 군자의..

뿌리 2024.04.11

성주(星州) 고산정(高山亭) - 4

성주(星州) 고산정(高山亭) - 4 야계(倻溪)선생의 연보(年譜) * 성종 25년(1494) 성주 송천리 본제(本第)에서 출생하다. * 연산군 6년(1500) 선생 7세 소학(小學)을 읽고 다음과 같이 시를 지어 주위를 놀라게 하였다. 『몸가짐은 다만 효도하고 공경하며 뜻을 세움은 요컨대 신의와 충성이다. 만약 사람마다 이도리를 안다면 어찌 나라가 망하고 집이 망할 일이 있으 리오. (持身 祗是孝而悌 立志要當信興忠 若使人 人知此道 則何亡國敗家有)』 * 연산군 10년(1504) 선생 11세 행정(杏亭) 도형(都衡) 선생(先生)에게 수학(受學)하시다. * 중종 8년(1513) 선생 20세 봄에 향시(鄕試)와 진사시(進士試)에 합격하고 가을이 회시(會試)에 3등으로 합격하 시다. * 중종 9년(1514) 선생..

뿌리 2024.04.08

칠곡(漆谷) 매남(梅南) - 4

칠곡(漆谷) 매남(梅南) - 4 《매양서원(梅陽書院)의 제향(祭享) 과 학문 (學問) 》 매향삼현지(梅陽三賢誌)[아헌(啞軒) 송원기(宋遠器), 매헌(梅軒) 송명기(宋命基),남촌(南村) 송리석(宋履錫)] * 아헌(啞軒) 송원기(宋遠器) 본관(本貫)은 야성(冶城) 자(字)는 학무(學懋) 호(號) 아헌(啞軒). 명종(明宗) 6년(1548)에 성주의 유촌(柳村)에서 태어났다. 선조(宣 祖) 6년(1573) 생원(生員) 진사(進士) 양시(兩試)에 급제하였고, 선조(宣祖) 38년(1605) 선무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에 녹훈(錄勳)되 었으며, 광해(光海) 2년(1610) 경술년(庚戌年)에 문과(文科)에 급제 하여 권지성균관학유봉훈랑(權知成均館學諭奉訓郞)에 제수되었다. 인조(仁祖) 2년(1624) 동계(桐溪) 정온(鄭..

뿌리 2024.04.06

冶城宋氏 始祖 冶城君 (宋孟英) 春享祭 享祀

冶城宋氏 始祖 冶城君 (宋孟英) 春享祭 享祀 甲辰年 한식날 음력 2월 27일 (2024년 4월 6일 ) 오전 10시~ 경남 합천군 야로면 구정리 (九政齋)에서 冶城宋氏 始祖 冶城君 (宋孟英) (야성송씨 시조 야성군 송맹영) 할아버지 이하 9세의 春享祭 享祀를 가졌다. 작년에 비하여 祭官(제관)들이 많이 줄었다. 앞으로 우리 세대가 가고 나면 이러한 뿌리에 대하여 젊은이들이 얼마나 많은 관심을 가지고 참석을 할 것인지 의문이다.

뿌리 2024.04.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