뿌리

[스크랩] 조선왕조실록의 용계공(龍溪公) 관련 사료

공간(空間) 2017. 1. 2. 21:53

<!-by_daum->

19. 宋光啓(1566 ~ 1615)

 

  만력(萬曆) 임진의 변란에 춘추관(春秋館)과 성주(星州)·충주(忠州)에 분장(分藏)했던 선대조(先代朝)의 실록(實錄)은 모두 병화(兵火)로 불타 버렸고, 전주(全州)에 소장했던 실록만이 병화를 면하였으므로 처음에는 해주(海州)로, 다음에는 영변(寧邊)으로 옮겼다가 다시 강화(江華)로 옮겨 봉안하였다.
  상(上)이 춘추관에 명하여 이 본(本)에 의거하여 3질을 인출(印出)하고, 구인본[舊件]은 강화의 마니산(摩尼山)에 보관하고 신인본[新件]은 춘추관과 안동(安東)의 태백산(太白山), 영변(寧邊)의 묘향산(妙香山)에 분장케 하였으며, 초본(草本) 1질은 강릉(江陵)의 오대산(五臺山)에 보관하게 하였다. 구인본은 5백 76권이고 신인본은 각기 2백 59권인데 이는 책의 장정에 크고 작음이 있기 때문이다.
  이 역사(役事)는 계묘 7월에 시작하여 병오 4월에 완성하였다. 전후의 관원을 아울러 기록한다.
  대광 보국 숭록 대부(大匡輔國崇祿大夫) 의정부 영의정 겸 영경연홍문관예문관춘추관관상감사 세자사(議政府領議政兼領經筵弘文館藝文館春秋館觀象監事世子師) 신 이덕형(李德馨)
  대광 보국 숭록 대부(大匡輔國崇祿大夫) 의정부 영의정 겸 영경연홍문관예문관춘추관관상감사 세자사(議政府領議政兼領經筵弘文館藝文館春秋館觀象監事世子師) 신 윤승훈(尹承?)
  충근 정량 효절 협책 호성 공신(忠勤貞亮?節?策扈聖功臣) 대광 보국 숭록 대부(大匡輔國崇祿大夫) 의정부 영의정 겸 영경연홍문관예문관춘추관관상감사 세자사(議政府領議政兼領經筵弘文館藝文館春秋館觀象監事世子師) 전양 부원군(全陽府院君) 신 유영경(柳永慶)
  대광 보국 숭록 대부(大匡輔國崇祿大夫) 의정부 좌의정 겸 영경연사 감춘추관사 세자부(議政府左議政兼領經筵事監春秋館事世子傅) 신 기자헌(奇自獻)
  대광 보국 숭록 대부(大匡輔國崇祿大夫) 의정부 우의정 겸 영경연사 감춘추관사(議政府右議政兼領經筵事監春秋館事) 신 심희수(沈喜壽)
  충근 정량 효절 협책 호성 공신(忠勤貞亮?節?策扈聖功臣) 보국 숭록 대부(輔國崇祿大夫) 연릉 부원군 겸 지경연사 홍문관 대제학 예문관 대제학 지춘추관성균관사(延陵府院君兼知經筵事弘文館大提學藝文館大提學知春秋館成均館事) 신 이호민(李好閔)
  충근 정량 효절 협책 호성 공신(忠勤貞亮?節?策扈聖功臣) 숭정 대부(崇政大夫) 행 예조 판서 겸 지춘추관사(行禮曹判書兼知春秋館事) 연원군(延原君) 신 이광정(李光庭)
  충근 정량 효절 협책 호성 공신(忠勤貞亮?節?策扈聖功臣) 숭록 대부(崇祿大夫) 평천군 겸 지춘추관사(平川君兼知春秋館事) 신 신잡(申캈)
  충근 정량 효절 협책 호성 공신(忠勤貞亮?節?策扈聖功臣) 숭록 대부(崇祿大夫) 의정부 좌찬성 겸 세자 이사 지경연사 홍문관 대제학 예문관 대제학 지춘추관성균관사(議政府左贊成兼世子貳師知經筵事弘文館大提學藝文館大提學知春秋館成均館事) 진원군(晉原君) 신 유근(柳根)
  숭정 대부(崇政大夫) 행 예조 판서 겸 지춘추관사(行禮曹判書兼知春秋館事) 신 황진(黃璡)
  수충 익모 수기 광국 공신(輸忠翼謨修紀光國功臣) 숭정 대부(崇政大夫) 판중추부사 겸 지춘추관사(判中樞府事兼知春秋館事) 무성군(茂城君) 신 윤형(尹泂)
  숭정 대부(崇政大夫) 행 이조 판서 겸 지춘추관사 동지경연사(行吏曹判書兼知春秋館事同知經筵事) 양릉군(陽陵君) 신 허욱(許頊)
  정헌 대부(正憲大夫) 이조 판서 겸 지의금부사 춘추관사 동지성균관사(吏曹判書兼知義禁府事春秋館事同知成均館事) 신 송언신(宋言愼)
  추충 분의 협책 평난 공신(推忠奮義?策平難功臣) 정헌 대부(正憲大夫) 한성부 판윤 겸 지춘추관사 오위 도총부 도총관(漢城府判尹兼知春秋館事五衛都?府都摠管) 전성군(全城君) 신 이준(李準)
  추충 분의 평난 공신(推忠奮義平難功臣) 정헌 대부(正憲大夫) 진흥군 겸 지춘추관사(晉興君兼知春秋館事) 신 강신(姜紳)
  자헌 대부(資憲大夫) 지중추부사 겸 지춘추관사(知中樞府事兼知春秋館事) 신 민몽룡(閔夢龍)
  자헌 대부(資憲大夫) 행 동지중추부사 겸 지춘추관사(行同知中樞府事兼知春秋館事) 심 김신원(金信元)
  자헌 대부(資憲大夫) 행 동지충추부사 겸 지춘추관사 오위 도총부 도총관(行同知中樞府事兼知春秋館事五衛都?府都?管) 신 서성(徐픸)
  자헌 대부(資憲大夫) 형조 판서 겸 지춘추관사(刑曹判書兼知春秋館事) 신 박홍로(朴弘老)
  자헌 대부(資憲大夫) 공조 판서 겸 지춘추관사(刑曹判書兼知春秋館事) 신 윤돈(尹暾)
  자헌 대부(資憲大夫) 지중추부사 겸 동지춘추관사(知中樞府事兼同知春秋館事) 신 이정귀(李廷龜)
  자헌 대부(資憲大夫) 지중추부사 겸 동지춘추관사(知中樞府事兼同知春秋館事) 신 윤승길(尹承吉)
  충근 정량 효절 협책 호성 공신(忠勤貞亮?節?策扈聖功臣) 자헌 대부(資憲大夫) 의정부 우참찬 겸 동지춘추관사(議政府右參贊兼同知春秋館事) 금계군(錦溪君) 신 박동량(朴東亮)
  자헌 대부(資憲大夫) 병조 판서 겸 동지경연춘추관사(兵曹判書兼同知經筵春秋館事) 신 허성(許筬)
  자헌 대부(資憲大夫) 행 동중추부사 겸 지의금부사 동지춘추관사(行同中樞府事兼知義禁府事同知春秋館事) 신 이시언(李時彦)
  자헌 대부(資憲大夫) 행 사헌부 대사헌 겸 동지춘추관사(行司憲府大司憲兼同知春秋館事) 신 박승종(朴承宗)
  가의 대부(嘉義大夫) 호조 참판 겸 동지춘추관사(戶曹參判兼同知春秋館事) 신 홍이상(洪履祥)
  가의 대부(嘉義大夫) 호조 참판 겸 동지춘추관사(戶曹參判兼同知春秋館事) 신 조정(趙挺)
  가의 대부(嘉義大夫) 예조 참판 겸 동지춘추관사(禮曹參判兼同知春秋館事) 신 정광적(鄭光績)
  가의 대부(嘉義大夫) 예조 참판 겸 동지춘추관사(禮曹參判兼同知春秋館事) 신 신식(申湜)
  가의 대부(嘉義大夫) 호조 참판 겸 동지춘추관사(戶曹參判兼同知春秋館事) 신 권희(權憘)
  효충 장의 선무 공신(?忠仗義宣武功臣) 가선 대부(嘉善大夫) 길창군 겸 동지춘추관사(吉昌君兼同知春秋館事) 신 권협(權?)
  가선 대부(嘉善大夫) 이조 참판 겸 홍문관 제학 동지춘추관사 세자 우부빈객(吏曹參判兼弘文館提學同知春秋館事世子右副賓客) 신 오억령(吳億齡)
  가선 대부(嘉善大夫) 이조 참판 겸 동지춘추관사 세자 우부빈객(吏曹參判兼同知春秋館事世子右副賓客) 신 한준겸(韓浚謙)
  가선 대부(嘉善大夫) 형조 참판 겸 동지춘추관사(刑曹參判兼同知春秋館事)신 남이신(南以信)
  가선 대부(嘉善大夫) 사헌부 대사헌 겸 동지춘추관사(司憲府大司憲兼同知春秋館事) 신 최천건(崔天健)
  가선 대부(嘉善大夫) 병조 참판 겸 동지춘추관사(兵曹參判兼同知春秋館事) 신 신흠(申欽)
  가선 대부(嘉善大夫) 병조 참판 겸 동지춘추관사(兵曹參判兼同知春秋館事) 신 이시발(李時發)
  가선 대부(嘉善大夫) 병조 참판 겸 동지춘추관사(兵曹參判兼同知春秋館事) 해창군(海昌君) 신 윤방(尹昉)
  통정 대부(通政大夫) 홍문관 부제학 지제교 겸 경연 참찬관 춘추관 수찬관(弘文館副提學知製敎兼經筵參贊官春秋館修撰官) 신 이수광(李첧光)
  통정 대부(通政大夫) 홍문관 부제학 지제교 겸 경연 참찬관 춘추관 수찬관(弘文館副提學知製敎兼經筵參贊官春秋館修撰官) 신 송응순(宋應洵)
  통정 대부(通政大夫) 홍문관 부제학 지제교 겸 경연 참찬관 춘추관 수찬관(弘文館副提學知製敎兼經筵參贊官春秋館修撰官) 신 홍경신(洪慶臣)
  통훈 대부(通訓大夫) 홍문관 직제학 지제교 겸 경연 시강관 춘추관 편수관(弘文館直提學知製敎兼經筵侍講官春秋館編修官) 신 홍식(洪湜)
  통훈 대부(通訓大夫) 홍문관 직제학 지제교 겸 경연 시강관 춘추관 편수관(弘文館直提學知製敎兼經筵侍講官春秋館編修官) 신 강첨(姜籤)
  통훈 대부(通訓大夫) 홍문관 직제학 지제교 겸 경연 시강관 춘추관 편수관(弘文館直提學知製敎兼經筵侍講官春秋館編修官) 신 황시(黃是)
  통훈 대부(通訓大夫) 승문원 판교 겸 춘추관 편수관(承文院判校兼春秋館編修官) 신 이수준(李壽俊)
  통훈 대부(通訓大夫) 승문원 판교 겸 춘추관 편수관(承文院判校兼春秋館編修官) 신 신숙(申熟)
  통훈 대부(通訓大夫) 승문원 판교 겸 춘추관 편수관(承文院判校兼春秋館編修官) 신 권경우(權慶祐)
  통훈 대부(通訓大夫) 승문원 판교 겸 춘추관 편수관(承文院判校兼春秋館編修官) 신 윤경(尹暻)
  통훈 대부(通訓大夫) 통례원 좌통례 지제교 겸 춘추관 편수관(通禮院左通禮知製敎兼春秋館編修官) 신 윤양(尹暘)
  통훈 대부(通訓大夫) 통례원 좌통례 겸 춘추관 편수관(通禮院左通禮兼春秋館編修官) 신 박동선(朴東善)
  통훈 대부(通訓大夫) 봉상시 정 겸 춘추관 편수관(奉常寺正兼春秋館編修官) 신 이영(李瑩)
  통훈 대부(通訓大夫) 봉상시 정 겸 춘추관 편수관(奉常寺正兼春秋館編修官) 신 홍치상(洪致祥)
  통훈 대부(通訓大夫) 봉상시 정 겸 춘추관 편수관(奉常寺正兼春秋館編修官) 신 조수준(趙守準)
  통훈 대부(通訓大夫) 종부시 정 겸 춘추관 편수관(宗簿寺正兼春秋館編修官) 심 김권(金權)
  통훈 대부(通訓大夫) 종부시 정 지제교 겸 춘추관 편수관(宗簿寺正知製敎兼春秋館編修官) 신 김순명(金順命)
  통훈 대부(通訓大夫) 사옹원 정 지제교 겸 춘추관 편수관(司饔院正知製敎兼春秋館編修官) 신 윤의립(尹義立)
  통훈 대부(通訓大夫) 사옹원 정 겸 춘추관 편수관(司饔院正兼春秋館編修官) 신 조응문(趙應文)
  통훈 대부(通訓大夫) 군기시 정 겸 춘추관 편수관(軍器寺正兼春秋館編修官) 신 여유길(呂裕吉)
  통훈 대부(通訓大夫) 내자시 정 지제교 겸 춘추관 편수관(內資寺正知製敎兼春秋館編修官) 신 이수록(李綏祿)
  통훈 대부(通訓大夫) 내섬시 정 겸 춘추관 편수관(內贍寺正兼春秋館編修官) 신 송기(宋圻)
  통훈 대부(通訓大夫) 사도시 정 겸 춘추관 편수관(司?寺正兼春秋館編修官) 신 이집(李潗)
  통훈 대부(通訓大夫) 사도시 정 겸 춘추관 편수관(司?寺正兼春秋館編修官) 신 조희보(趙希輔)
  통훈 대부(通訓大夫) 군자감 정 지제교 겸 춘추관 편수관(軍資監正知製敎兼春秋館編修官) 신 안대진(安大進)
  통훈 대부(通訓大夫) 군자감 정 겸 춘추관 편수관(軍資監正兼春秋館編修官) 신 윤수민(尹壽民)
  통훈 대부(通訓大夫) 군자감 정 겸 춘추관 편수관(軍資監正兼春秋館編修官) 신 윤황(尹滉)
  통훈 대부(通訓大夫) 제용감 정 겸 춘추관 편수관(濟用監正兼春秋館編修官) 신 이경기(李慶셢)
  통훈 대부(通訓大夫) 행 홍문관 전한 지제교 겸 경연 시강관 춘추관 편수관(行弘文館典翰知製敎兼經筵侍講官春秋館編修官) 신 조정립(趙正立)
  통훈 대부(通訓大夫) 행 홍문관 전한 지제교 겸 경연 시강관 춘추관 편수관(行弘文館典翰知製敎兼經筵侍講官春秋館編修官) 신 이정혐(李廷?)
  통훈 대부(通訓大夫) 행 세자 시강원 보덕 지제교 겸 춘추관 편수관(行世子侍講院輔德知製敎兼春秋館編修官) 신 송석경(宋錫慶)
  통훈 대부(通訓大夫) 행 세자 시강원 보덕 지제교 겸 춘추관 편수관(行世子侍講院輔德知製敎兼春秋館編修官) 신 유영근(柳永謹)
  통훈 대부(通訓大夫) 행 세자 시강원 보덕 지제교 겸 춘추관 편수관(行世子侍講院輔德知製敎兼春秋館編修官) 신 이덕형(李德泂)
  통훈 대부(通訓大夫) 행 통례원 상례 지제교 겸 춘추관 편수관(行通禮院相禮知製敎兼春秋館編修官) 신 이준(李埈)
  통훈 대부(通訓大夫) 행 사섬시 부정 지제교 겸 춘추관 편수관(行司贍寺副正知製敎兼春秋館編修官) 신 문려(文勵)
  통훈 대부(通訓大夫) 행 예빈시 부정 겸 춘추관 편수관(行禮賓寺副正兼春秋館編修官) 신 윤의(尹휆)
  통훈 대부(通訓大夫) 행 예빈시 부정 겸 춘추관 편수관(行禮賓寺副正兼春秋館編修官) 신 이진빈(李軫賓)
  통훈 대부(通訓大夫) 행 의정부 사인 지제교 겸 춘추관 편수관(行議政府舍人知製敎兼春秋館編修官) 신 정협(鄭?)
  통훈 대부(通訓大夫) 행 의정부 사인 지제교 겸 춘추관 편수관(行議政府舍人知製敎兼春秋館編修官) 신 이심(李햖)
  통훈 대부(通訓大夫) 행 의정부 사인 지제교 겸 춘추관 편수관 교서관 교리 혜민서 의학 교수(行議政府舍人知製敎兼春秋館編修官校書館校理惠民署醫學敎授) 신 이선복(李善復)
  통훈 대부(通訓大夫) 행 의정부 사인 지제교 겸 춘추관 편수관(行議政府舍人知製敎兼春秋館編修官) 신 유간(柳澗)
  통훈 대부(通訓大夫) 행 의정부 사인 지제교 겸 춘추관 편수관(行議政府舍人知製敎兼春秋館編修官) 신 오백령(吳百齡)
  통훈 대부(通訓大夫) 행 의정부 사인 지제교 겸 춘추관 편수관(行議政府舍人知製敎兼春秋館編修官) 신 김대래(金大來)
  통훈 대부(通訓大夫) 행 홍문관 응교 지제교 겸 경연 시강관 춘추관 편수관 교서관 교리(行弘文館應敎知製敎兼經筵侍講官春秋館編修官校書館校理) 신 유희분(柳希奮)
  통훈 대부(通訓大夫) 행 홍문관 부응교 지제교 겸 경연 시강관 춘추관 편수관(行弘文館副應敎知製敎兼經筵侍講官春秋館編修官) 신 박진원(朴震元)
  통훈 대부(通訓大夫) 행 세자 시강원 필선 겸 춘추관 편수관(行世子侍講院弼善兼春秋館編修官) 신 조정견(趙庭堅)
  통훈 대부(通訓大夫) 행 세자 시강원 필선 겸 춘추관 편수관(行世子侍講院弼善兼春秋館編修官) 신 이덕온(李德溫)
  통훈 대부(通訓大夫) 행 세자 시강원 필선 지제교 겸 춘추관 편수관(行世子侍講院弼善知製敎兼春秋館編修官) 신 이지완(李志完)
  통훈 대부(通訓大夫) 행 성균관 사예 지제교 겸 춘추관 편수관 교서관 교리(行成均館司藝知製敎兼春秋館編修官校書館校理) 신 정호선(丁好善)
  통훈 대부(通訓大夫) 행 성균관 사예 겸 춘추관 편수관(行成均館司藝兼春秋館編修官) 신 박효생(朴孝生)
  통훈 대부 행 성균관 사예 지제교 겸 춘추관 편수관(行成均館司藝知製敎兼春秋館編修官) 신 홍서봉(洪瑞鳳)
  통훈 대부(通訓大夫) 행 성균관 사예 지제교 겸 춘추관 편수관 한학 교수(行成均館司藝知製敎兼春秋館編修官漢學敎授) 신 강홍립(姜弘立)
  중훈 대부(中訓大夫) 행 성균관 사예 지제교 겸 춘추관 편수관(行成均館司藝知製敎兼春秋館編修官) 신 이홍주(李弘胄)
  중훈 대부(中訓大夫) 행 성균관 사예 지제교 겸 춘추관 편수관(行成均館司藝知製敎兼春秋館編修官) 신 이신원(李信元)
  통훈 대부(通訓大夫) 행 장악원 첨정 지제교 겸 춘추관 편수관(行掌樂院僉正知製敎兼春秋館編修官) 신 윤훤(尹暄)
  통훈 대부(通訓大夫) 행 장악원 첨정 겸 춘추관 편수관(行掌樂院僉正兼春秋館編修官) 신 이순경(李順慶)
  통훈 대부(通訓大夫) 행 장악원 첨정 겸 춘추관 편수관(行掌樂院僉正兼春秋館編修官)신 권형(權?)
  통훈 대부(通訓大夫) 행 사재감 첨정 겸 춘추관 편수관(行司宰監僉正兼春秋館編修官) 신 이빈(李?)
  어모 장군(禦侮將軍) 행 용양위 부호군 겸 춘추관 편수관(行龍쵃衛副護軍兼春秋館編修官) 신 경섬(慶暹)
  통훈 대부(通訓大夫) 행 홍문관 교리 지제교 겸 경연 시독관 춘추관 기주관(行弘文館校理知製敎兼經筵侍讀官春秋館記注官) 신 이광윤(李光胤)
  통훈 대부(通訓大夫) 행 홍문관 교리 지제교 겸 경연 시독관 춘추관 기주관(行弘文館校理知製敎兼經筵侍讀官春秋館記注官) 신 권진(權縉)
  통훈 대부(通訓大夫) 행 홍문관 교리 지제교 겸 경연 시독관 춘추관 기주관(行弘文館校理知製敎兼經筵侍讀官春秋館記注官) 신 유시행(柳時行)
  중직 대부(中直大夫) 행 홍문관 교리 지제교 겸 경연 시독관 춘추관 기주관(行弘文館校理知製敎兼經筵侍讀官春秋館記注官) 신 성준구(成俊耉)
  중훈 대부(中訓大夫) 행 홍문관 교리 지제교 겸 경연 시독관 춘추관 기주관(行弘文館校理知製敎兼經筵侍讀官春秋館記注官) 신 권태일(權泰一)
  통훈 대부(通訓大夫) 행 세자 시강원 문학 겸 춘추관 기주관(行世子侍講院文學兼春秋館記注官) 신 이윤징(李允澄)
  통훈 대부(通訓大夫) 행 세자 시강원 문학 지제교 겸 춘추관 기주관(行世子侍講院文學知製敎兼春秋館記注官) 신 조탁(曺倬)
  통훈 대부(通訓大夫) 행 세자 시강원 문학 지제교 겸 춘추관 기주관(行世子侍講院文學知製敎兼春秋館記注官) 신 신지제(申之悌)
  통훈 대부(通訓大夫) 행 세자 시강원 문학 겸 춘추관 기주관(行世子侍講院文學兼春秋館記注官) 신 이충양(李忠養)
  통훈 대부(通訓大夫) 행 세자 시강원 문학 지제교 겸 춘추관 기주관(行世子侍講院文學知製敎兼春秋館記注官) 신 최기남(崔起南)
  중훈 대부(中訓大夫) 행 세자 시강원 문학 지제교 겸 춘추관 기주관(行世子侍講院文學知製敎兼春秋館記注官) 신 김수현(金壽賢)
  봉정 대부(奉正大夫) 행 세자 시강원 문학 겸 춘추관 기주관(行世子侍講院文學兼春秋館記注官) 신 신율(申慄)
  봉정 대부(奉正大夫) 행 세자 시강원 문학 겸 춘추관 기주관(行世子侍講院文學兼春秋館記注官) 신 유성(柳惺)
  봉렬 대부(奉列大夫) 행 세자 시강원 문학 겸 춘추관 기주관(行世子侍講院文學兼春秋館記注官) 신 윤양(尹讓)
  통덕랑(通德郞) 세자 시강원 문학 지제교 겸 춘추관 기주관(世子侍講院文學知製敎兼春秋館記注官) 신 조성립(趙誠立)
  통훈 대부(通訓大夫) 행 이조 정랑 지제교 겸 춘추관 기주관 혜민서 의학 교수(行吏曹正郞知製敎兼春秋館記注官惠民署醫學敎授) 신 민경기(閔慶基)
  통훈 대부(通訓大夫) 행 예조 정랑 지제교 겸 춘추관 기주관(行禮曹正郞知製敎兼春秋館記注官) 신 김지남(金止男)
  통훈 대부(通訓大夫) 행 예조 정랑 지제교 겸 춘추관 기주관(行禮曹正郞知製敎兼春秋館記注官) 신 송보(宋숮)
  통훈 대부(通訓大夫) 행 예조 정랑 겸 춘추관 기주관(行禮曹正郞兼春秋館記注官) 신 심집(沈?)
  통훈 대부(通訓大夫) 행 병조 정랑 지제교 겸 춘추관 기주관 한학 교수(行兵曹正郞知製敎兼春秋館記注官漢學敎授) 신 박엽(朴燁)
  통훈 대부(通訓大夫) 행 병조 정랑 겸 춘추관 기주관(行兵曹正郞兼春秋館記注官) 신 박건(朴楗)
  통훈 대부(通訓大夫) 행 병조 정랑 겸 춘추관 기주관(行兵曹正郞兼春秋館記注官) 신 유순익(柳舜翼)
  통훈 대부(通訓大夫) 행 형조 정랑 지제교 겸 춘추관 기주관(行刑曹正郞知製敎兼春秋館記注官) 신 이현영(李顯英)
  통훈 대부(通訓大夫) 행 형조 정랑 겸 춘추관 기주관(行刑曹正郞兼春秋館記注官) 신 심언명(沈彦明)
  통훈 대부(通訓大夫) 행 공조 정랑 겸 춘추관 기주관(行工曹正郞兼春秋館記注官) 신 이춘영(李春英)
  중직 대부(中直大夫) 행 병조 정랑 지제교 겸 춘추관 기주관(行兵曹正郞知製敎兼春秋館記注官) 신 신요(申橈)
  중훈 대부(中訓大夫) 행 병조 정랑 겸 춘추관 기주관(行兵曹正郞兼春秋館記注官) 신 유경종(柳慶宗)
  봉정 대부(奉正大夫) 행 병조 정랑 겸 춘추관 기주관(行兵曹正郞兼春秋館記注官) 신 유석증(柳昔曾)
  봉렬 대부(奉列大夫) 행 이조 정랑 지제교 겸 춘추관 기주관(行吏曹正郞知製敎兼春秋館記注官) 신 강주(姜?)
  봉렬 대부(奉列大夫) 행 예조 정랑 겸 춘추관 기주관(行禮曹正郞兼春秋館記注官) 신 김정일(金鼎一)
  봉렬 대부(奉列大夫) 행 병조 정랑 지제교 겸 춘추관 기주관(行兵曹正郞知製敎兼春秋館記注官) 신 소광진(蘇光震)
  조산 대부(朝散大夫) 행 이조 정랑 지제교 겸 춘추관 기주관 세자 시강원 사서(行吏曹正郞知製敎兼春秋館記注官世子侍講院司書) 신 정입(鄭쬬)

  조산 대부(朝散大夫) 행 호조 정랑 겸 춘추관 기주관(行戶曹正郞兼春秋館記注官) 신 송광계(宋光啓)

  조산 대부(朝散大夫) 행 예조 정랑 겸 춘추관 기주관(行禮曹正郞兼春秋館記注官) 신 조유한(趙維韓)
  조산 대부(朝散大夫) 행 병조 정랑 겸 춘추관 기주관(行兵曹正郞兼春秋館記注官) 신 윤수겸(尹守謙)
  통덕랑(通德郞) 병조 정랑 겸 춘추관 기주관(兵曹正郞兼春秋館記注官) 신 이형원(李馨遠)
  통선랑(通善郞) 병조 정랑 지제교 겸 춘추관 기주관(兵曹正郞知製敎兼春秋館記注官) 신 이민성(李民宬)
  봉직랑(奉直郞) 수 호조 정랑 지제교 겸 춘추관 기주관(守戶曹正郞知製敎兼春秋館記注官) 신 윤광계(尹光啓)
  통훈 대부(通訓大夫) 행 성균관 직강 겸 춘추관 기주관(行成均館直講兼春秋館記注官) 신 원호지(元虎智)
  통훈 대부(通訓大夫) 행 성균관 직강 지제교 겸 춘추관 기주관(行成均館直講知製敎兼春秋館記注官) 신 권반(權盼)
  통훈 대부(通訓大夫) 행 성균관 직강 겸 춘추관 기주관(行成均館直講兼春秋館記注官) 신 여우길(呂祐吉)
  통훈 대부(通訓大夫) 행 성균관 직강 지제교 겸 춘추관 기주관(行成均館直講知製敎兼春秋館記注官) 신 성진선(成晉善)
  통훈 대부(通訓大夫) 행 성균관 직강 겸 춘추관 기주관(行成均館直講兼春秋館記注官) 신 조존세(趙存世)
  통훈 대부(通訓大夫) 행 성균관 직강 지제교 겸 춘추관 기주관(行成均館直講知製敎兼春秋館記注官) 신 목장흠(睦長欽)
  봉정 대부(奉正大夫) 행 성균관 직강 지제교 겸 춘추관 기주관(行成均館直講知製敎兼春秋館記注官) 신 최충원(崔忠元)
  봉정 대부(奉正大夫) 행 성균관 직강 겸 춘추관 기주관(行成均館直講兼春秋館記注官) 신 채형(蔡衡)
  통훈 대부(通訓大夫) 행 홍문관 부교리 지제교 겸 경연 시독관 춘추관 기주관(行弘文館副校理知製敎兼經筵侍讀官春秋館記注官) 신 이호의(李好義)
  통훈 대부(通訓大夫) 행 홍문관 부교리 지제교 겸 경연 시독관 춘추관 기주관(行弘文館副校理知製敎兼經筵侍讀官春秋館記注官) 신 조집(趙?)
  통훈 대부(通訓大夫) 행 홍문관 부교리 지제교 겸 경연 시독관 춘추관 기주관 교서관 교리(行弘文館副校理知製敎兼經筵侍讀官春秋館記注官校書館校理) 신 이필영(李必榮)
  통훈 대부(通訓大夫) 행 종묘서 령 겸 춘추관 기주관(行宗廟署令兼春秋館記注官) 신 김원록(金元祿)
  어모 장군(禦侮將軍) 행 세자 익위사 사어 겸 춘추관 기주관(行世子翊衛司司禦兼春秋館記注官) 신 이유연(李幼淵)
  건공 장군(建功將軍) 행 용양위 부사직 겸 춘추관 기주관(行龍쵃衛副司直兼春秋館記注官) 신 신감(申鑑)
  진위 장군(振威將軍) 행 용양위 부사직 겸 춘추관 기주관(行龍쵃衛副司直兼春秋館記注官) 신 최동식(崔東式)
  소위 장군(昭威將軍) 행 용양위 부사직 지제교 겸 춘추관 기주관(行龍쵃衛副司直知製敎兼春秋館記注官) 신 민여임(閔汝任)
  소위 장군(昭威將軍) 행 용양위 부사직 겸 춘추관 기주관(行龍쵃衛副司直兼春秋館記注官) 신 정영국(鄭榮國)
  정략 장군(定略將軍) 행 호분위 부사직 겸 춘추관 기주관(行虎賁衛副司直兼春秋館記注官) 신 윤경(尹絅)
  통훈 대부(通訓大夫) 행 홍문관 수찬 지제교 겸 경연 검토관 춘추관 기사관(行弘文館修撰知製敎兼經筵檢討官春秋館記事官) 신 유색(柳穡)
  봉정 대부(奉正大夫) 행 홍문관 수찬 지제교 겸 경연 검토관 춘추관 기사관(行弘文館修撰知製敎兼經筵檢討官春秋館記事官) 신 민덕남(閔德男)
  통훈 대부(通訓大夫) 행 세자 시강원 사서 겸 춘추관 기사관(行世子侍講院司書兼春秋館記事官) 신 임연(任?)
  통훈 대부(通訓大夫) 행 세자 시강원 사서 지제교 겸 춘추관 기사관(行世子侍講院司書知製敎兼春秋館記事官) 신 윤탁(尹晫)
  통덕랑(通德郞) 행 세자 시강원 사서 겸 춘추관 기사관(行世子侍講院司書兼春秋館記事官) 신 이호신(李好信)
  통훈 대부(通訓大夫) 행 이조 좌랑 지제교 겸 춘추관 기사관(行吏曹佐郞知製敎兼春秋館記事官) 신 이유홍(李惟弘)
  중훈 대부(中訓大夫) 행 이조 좌랑 지제교 겸 춘추관 기사관(行吏曹佐郞知製敎兼春秋館記事官) 신 조중립(趙中立)
  조산 대부(朝散大夫) 행 이조 좌랑 겸 춘추관 기사관(行吏曹佐郞兼春秋館記事官) 신 이극신(李克信)
  조산 대부(朝散大夫) 행 이조 좌랑 지제교 겸 춘추관 기사관(行吏曹佐郞知製敎兼春秋館記事官) 신 채경선(蔡慶先)
  조산 대부(朝散大夫) 행 이조 좌랑 겸 춘추관 기사관(行吏曹佐郞兼春秋館記事官) 신 윤효선(尹孝先)
  조봉 대부(朝奉大夫) 행 병조 좌랑 겸 춘추관 기사관(行兵曹佐郞兼春秋館記事官) 신 정호관(丁好寬)
  통덕랑(通德郞) 행 호조 좌랑 겸 춘추관 기사관(行戶曹佐郞兼春秋館記事官) 신 변응벽(邊應璧)
  통덕랑(通德郞) 행 예조 좌랑 겸 춘추관 기사관(行禮曹佐郞兼春秋館記事官) 신 유중룡(柳仲龍)
  통덕랑(通德郞) 행 병조 좌랑 겸 춘추관 기사관(行兵曹佐郞兼春秋館記事官) 신 윤홍국(尹弘國)
  통선랑(通善郞) 행 예조 좌랑 지제교 겸 춘추관 기사관(行禮曹佐郞知製敎兼春秋館記事官) 신 홍명원(洪命元)
  봉직랑(奉直郞) 행 예조 좌랑 겸 춘추관 기사관(行禮曹佐郞兼春秋館記事官) 신 윤황(尹煌)
  봉직랑(奉直郞) 행 병조 좌랑 겸 춘추관 기사관(行兵曹佐郞兼春秋館記事官) 신 박대겸(朴大謙)
  봉직랑(奉直郞) 행 병조 좌랑 겸 춘추관 기사관(行兵曹佐郞兼春秋館記事官) 신 권흔(權昕)
  봉직랑(奉直郞) 행 병조 좌랑 겸 춘추관 기사관(行兵曹佐郞兼春秋館記事官) 신 이척(李쾩)
  봉훈랑(奉訓郞) 행 호조 좌랑 지제교 겸 춘추관 기사관(行戶曹佐郞知製敎兼春秋館記事官) 신 이명준(李命俊)
  봉훈랑(奉訓郞) 행 병조 좌랑 지제교 겸 춘추관 기사관(行兵曹佐郞知製敎兼春秋館記事官) 신 신광립(申光立)
  봉훈랑(奉訓郞) 행 병조 좌랑 겸 춘추관 기사관(行兵曹佐郞兼春秋館記事官) 신 정광성(鄭廣成)
  승의랑(承議郞) 병조 좌랑 겸 춘추관 기사관(兵曹佐郞兼春秋館記事官) 신 성시헌(成時憲)
  승의랑(承議郞) 병조 좌랑 겸 춘추관 기사관(兵曹佐郞兼春秋館記事官) 신 이식립(李植立)
  승훈랑(承訓郞) 예조 좌랑 겸 춘추관 기사관(禮曹佐郞兼春秋館記事官) 신 오여발(吳汝撥)
  선교랑(宣敎郞) 수 병조 좌랑 지제교 겸 춘추관 기사관(守兵曹佐郞知製敎兼春秋館記事官) 신 이민환(李民?)
  통훈 대부(通訓大夫) 행 성균관 전적 지제교 겸 춘추관 기사관(行成均館典籍知製敎兼春秋館記事官) 신 남탁(南晫)
  통훈 대부(通訓大夫) 행 성균관 전적 지제교 겸 춘추관 기사관(行成均館典籍知製敎兼春秋館記事官) 신 윤길(尹셪)
  중직 대부(中直大夫) 행 성균관 전적 겸 춘추관 기사관(行成均館典籍兼春秋館記事官) 신 이경운(李卿雲)
  봉정 대부(奉正大夫) 행 성균관 전적 겸 춘추관 기사관(行成均館典籍兼春秋館記事官) 신 송석조(宋碩祚)
  봉렬 대부(奉列大夫) 행 성균관 전적 지제교 겸 춘추관 기사관(行成均館典籍知製敎兼春秋館記事官) 신 이성(李惺)
  승훈랑(承訓郞) 성균관 전적 겸 춘추관 기사관(成均館典籍兼春秋館記事官) 신 금업(琴슑)
  선교랑(宣敎郞) 수 성균관 전적 겸 춘추관 기사관(守成均館典籍兼春秋館記事官) 신 서경우(徐景雨)
  통선랑(通善郞) 행 홍문관 부수찬 지제교 겸 경연 검토관 춘추관 기사관(行弘文館副修撰知製敎兼經筵檢討官春秋館記事官) 신 기협(奇?)
  봉훈랑(奉訓郞) 행 홍문관 부수찬 지제교 겸 경연 검토관 춘추관 기사관 세자 시강원 사서(行弘文館副修撰知製敎兼經筵檢討官春秋館記事官世子侍講院司書) 신 황경중(黃敬中)
  선교랑(宣敎郞) 홍문관 부수찬 지제교 겸 경연 검토관 춘추관 기사관(弘文館副修撰知製敎兼經筵檢討官春秋館記事官) 신 박안현(朴顔賢)
  어모 장군(禦侮將軍) 행 용양위 부사과 겸 춘추관 기사관(行龍쵃衛副司果兼春秋館記事官) 신 조욱(趙稶)
  진위 장군(振威將軍) 행 용양위 부사과 겸 춘추관 기사관(行龍쵃衛副司果兼春秋館記事官) 신 신성기(辛成己)
  돈용 교위(敦勇校尉) 행 용양위 부사과 겸 춘추관 기사관(行龍쵃衛副司果兼春秋館記事官) 신 조희일(趙希逸)
  봉훈랑(奉訓郞) 행 예문관 봉교 겸 춘추관 기사관(行藝文館奉敎兼春秋館記事官) 신 심광세(沈光世)
  선무랑(宣務郞) 행 예문관 봉교 겸 춘추관 기사관(行藝文館奉敎兼春秋館記事官) 신 오익(吳翊)
  봉직랑(奉直郞) 행 세자 시강원 설서 겸 춘추관 기사관(行世子侍講院說書兼春秋館記事官) 신 임장(任章)
  선교랑(宣敎郞) 행 세자 시강원 설서 겸 춘추관 기사관(行世子侍講院說書兼春秋館記事官) 신 오정(吳靖)
  통사랑(通仕郞) 예문관 대교 겸 춘추관 기사관(藝文館待敎兼春秋館記事官) 신 김대덕(金大德)
  무공랑(務功郞) 행 예문관 검열 겸 춘추관 기사관(行藝文館檢閱兼春秋館記事官) 신 이현(李俔)
  무공랑(務功郞) 행 예문관 검열 겸 춘추관 기사관(行藝文館檢閱兼春秋館記事官) 신 유학증(兪學曾)
  승사랑(承仕郞) 행 승문원 정자 겸 춘추관 기사관(行承文院正字兼春秋館記事官) 신 이정(李?)

  【원전】 21 집 172 면


 

 선조

39년 06/04(신축) / 이상의·이상신·황경중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이상의(李尙毅)를 홍문관 부제학으로 이상신(李尙信)을 성균관 대사성으로, 황경중(黃敬中)을 병조 좌랑으로, 오정(吳靖)을 시강원 사서로, 송광계(宋光啓)를 형조 좌랑으로, 정광성(鄭廣成)을 홍문관 부수찬으로, 오여발(吳汝撥)을 예조 좌랑으로, 윤효선(尹孝先)을 사간원 정언으로, 신보(申?)를 황주 목사(黃州牧使)로, 조안방(趙安邦)을 삼수 군수(三水郡守)로, 정묵(鄭默)을 가산 군수(嘉山郡守)로 삼았다.

  【원전】 25 집 205 면

 

 선조 39년 11/16(신사) / 양호 감사의 솔가를 혁파하고 뇌물수수에 관한 사건을 아뢰다

헌부가 아뢰기를,
  “조종조(祖宗朝)에서 정한 제도를 경솔히 고칠 수는 없습니다. 지난날 국가에 일이 많아 군민(軍民)의 일이 호대하여졌으므로 하삼도(下三道)의 감영과 병영에는 가족을 데리고 가게 하는 규례를 설치하였던 것입니다. 그중에서도 영남은 지역이 가장 큰 데다가 갑작스럽게 생기는 업무가 제일 중대하였으므로 당초에 영문을 설치하였던 계책은 우연한 것이 아니었습니다. 그러나 양호(兩湖)에 있어서는 긴요한 정도가 현격하게 다르므로 일이 결정된 뒤에는 옛날처럼 차등을 두어 할 수 있어서 병영에는 이미 가족 거느리는 것을 혁제(革除)시켰습니다. 그런데 양호의 감영에는 아직도 잘못된 규례를 답습하고 있어 옛 법도에 어긋날 뿐만 아니라 열읍(列邑)에 끼치는 폐단이 적지 않으니, 가족 거느리는 것을 혁파시키소서.
  신들이 형조에서 정규(鄭?) 등을 추고한 내용을 보건대, 춘비(春非)를 시켜서 형조 낭관에게 뇌물을 주려고 하였던 일은 모두 통사(通事) 정득(鄭得)의 소위였다고 하는데 그 사실이 환히 드러났으니 매우 통분스러운 일입니다. 이같은 사람을 드러나는 대로 통렬하게 다스리지 않는다면 간활한 무리들을 징계할 수가 없을 것입니다. 정득의 관직을 삭탈하고 영원히 서용하지 말도록 명하소서.
  간활한 무리들이 사람을 속여 사대부의 명예를 더럽히는 짓이 근래 더욱 심하여졌으니, 드러나는 대로 끝까지 조사하여 말의 출처를 찾아내어 조치하소서. 그렇게 하지 않으면 청송관(聽訟官)이 손을 쓸 수가 없게 될 것은 물론 간활한 자들은 더욱 간교한 짓을 마음대로 할 것입니다. 막장(莫壯)과 모단(帽段)이 뇌물을 주었다는 말이 매우 경악스러워 신들이 그들을 잡아다가 재삼 엄중하게 문초하였습니다만 시종 변병하고 있습니다. 정랑(正郞) 송광계(宋光啓)는 처음엔 막장이라고 하는 자가 그의 여종에게 말한 것이라고 하였다가, 신들이 함문(緘問)할 즈음에는 직접 들었다고 대답하였습니다. 앞뒤의 말이 서로 달라 말의 출처를 알기가 어렵습니다. 추고하여 사실을 알아내도록 명하소서.”
  하니, 답하기를,
  “가족을 데리고 가는 것을 혁제하자는 일은 간원에 답한 것과 같다. 나머지는 윤허한다.”
  하였다.

  【원전】 25 집 286 면

 

출처 : 봉암회(鳳巖會)
글쓴이 : 양지뜸 종욱이 원글보기
메모 :

</!-by_da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