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생화~ 1

찔레꽃

공간(空間) 2008. 5. 26. 19:40


                  테무진 징기스칸이 세워 한때 전 세계를 정복했던 몽고(원)는

                  압록강 부근에서 도둑떼들에 의해 자국 사신 저고여가 피살된 책임을 물어

                  1225년 고종 12년에 고려를 침공해 왔다.

 

                  고려는 28년에 걸쳐 7번의 대전쟁(대몽항쟁)을 치뤘으나 결국 패배했다.

                  그 결과로 고려의 왕은 원나라 황실의 공주와 결혼하여

                  고려는 원의 '부마(황제의 사위)국'이 되었으며,

                  수많은 공물과 환관, 공녀(공물로 바치는 여자)를 매년 바쳐야 했다.

                  '찔레꽃의 전설'은 이러한 비극을 바탕으로 전해 내려 왔다.

 

                  고려 충렬왕은 원나라에 공녀를 바치기 위해 '금혼령'까지 내라고

                  전국적으로 공녀를 징발했다.

                  아래는 '찔레꽃의 전설'을 인터넷에서 발췌, 수정한 글이다.


                  산골 마을에 찔레와 달래라는 두 자매가 병든 아버지와 함께 살았다.

                  가난한 살림에 자매는 아버지의 약값을 구할 길이 없었다. 
                  그러나 아버지는 자신의 몸보다 두 딸이 원나라에 공녀로 끌려갈까 걱정이 됐다.


                  "찔레야, 달래야. 너희는 어떤 일이 있어도 공녀로 끌려가서는 안된다!." 
                  "설마 이 산골에까지 관원들이 오려고요? 너무 걱정 마세요."
                  두 딸은 아버지를 안심시키려고 애썼다. 

 

                  하지만 자매는 집에 숨어만 지낼 수 없었다.

                  나물도 뜯고 약초도 캐어 살림을 도와야만 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밖으로 나갈 때면 얼굴에 검댕을 바르고 누더기를 입었다.

 

                  그 날도 얼굴과 몸을 누더기로 가리고 산으로 갔다.

                  한참 약초를 캐고 있는데 관원들이 나타났다.
                  "여기 좀 와보게. 예쁜 처녀가 둘이나 있네!"
                  순식간에 관원들에게 둘러싸인 찔레와 달래는 어쩔 줄을 몰랐다.


                  "나리, 살려 주십시오.

                  병들어 누워 계신 불쌍한 아버지가 저희를 기다리십니다.

                  제발 데려가지 마십시오."

                  "살려달라니 어디 죽을 곳으로 간다더냐? 좋은 곳으로 보내주마.

                  어서 가자!" 
                  아무리 애원해도 막무가내였다.

 

                  할 수 없이 찔레가 말했다.
                  "나리, 저희는 자매 사이입니다.

                  둘다 끌려가면 병든 아버지는 어쩌란 말입니까?

                  제가 갈테니 동생은 집으로 돌려보내주십시오."

                  " 나리 아닙니다. 동생인 제가 가야죠.

                  그러니 제발 언니는 놓아주세요." 
                  눈물을 흘리며 서로 가겠다고 애원하자 관원들도 코끝이 찡했다.

                  "사정이 딱하구먼. 좋아, 너희들 우애에 감동하여 한 사람만 데려가겠다."
                  관원들은 달래를 풀어주고 언니인 찔레만 끌고갔다.


                  "달래야 아버지 잘 모셔야 한다."
                  "언니, 언니! 어쩌면 좋아요!" 자매는 서럽게 이별을 했다.
                  다른 공녀들과 함께 원나라에 간 찔레는 다행히 좋은 주인을 만났다.

                  비단옷에 맛있는 음식. 온갖 패물이 넘치는 나날을 보냈다.


                  하지만 찔레는 동생 달래와 아버지 생각 뿐이었다.

                  동생과 함께 날마다 올랐던 뒷 산도 그리웠다.

                  "달래는 어떻게 지내고 있을까? 아버지는 아직 살아계실까?"
                  밤낮없는 고향 생각에 찔레는 몸도 마음도 약해졌다. 
 

                  "허허 큰일이야.

                  우리 찔레가 고향을 그리워하다 죽게 생겼구나.

                  이일을 어찌할꼬?"
                  주인은 며칠동안 고민하다가 결국 찔레를 고국으로 돌려 보내기로 했다.

                  "찔레야, 그렇게도 고향이 그리우냐?

                  할 수 없구나. 집에 보내주마.

                  그러니 어서가서 기운을 차리고 일어나거라."

                  주인의 고마운 말에 찔레는 눈물이 앞을 가렸다.
                  "나리, 정말이십니까?

                  이 은혜 잊지 않겠습니다. 정말 고맙습니다.!"
                  그 날부터 기운을 차린 찔레는 얼마 뒤 고국으로 돌아올 수 있었다.

                  고향을 떠나온지 10년만이었다.


                  고향마을에 돌아온 찔레는 꿈에도 그리던 옛집으로 달려갔다.
                  "아버지, 어디계세요? 달래야, 내가왔다. 언니가 왔어!" 
                  하지만 대답이 없었다.

                  아니, 세 식구가 오순도순 살던 오두막은 간 곳없고,

                  그 자리엔 잡초만 우거져 있었다.
                  "아버지, 아버지! 달래야, 어디있는거니?"


                  마침 찔레의 목소리를 들은 옆집 할머니가 버선발로 달려 나왔다.
                  "아이구, 이게 누구야? 찔레 아니냐? 응?"
                  "할머니, 안녕하셨어요?

                  그런데 우리 아버지랑 달래는 어디있나요?

                  집은 또 어떻게 된 건가요?"
                  "에구, 쯧쯧, 불쌍하게도..........." 
                  할머니는 치맛자락으로 연신 눈물을 훔쳤다

                  "할머니, 무슨 일이예요? 얼른 말씀해 주세요."
                  "네가 오랑캐 나라로 끌려간 뒤, 네 아버지는 감나무에 목을 매어 죽었단다.

                  그것을 본 달래는 실성하여 뛰쳐나가더니, 그뒤로 소식이 없구나."
                  찔레는 그 자리에 주저앉아 울부짖었다.

                  가슴이 찢어지는 것만 같았다. 
 

                  그날부터 찔레는 달래를 찾아 산과 들을 헤매며 다녔다. 
                  "달래야, 달래야! 어디있니? 제발 돌아오렴!" 
                  가을이 가고 겨울이 왔다. 무심한 계절은 눈도 뿌렸다.

                  외로운 산길에 쓰러진 찔레 위로 눈이 덮였다.

                  봄이 되자 찔레가 쓰러진 산길에 하얀 꽃이 피었다.

                  찔레 고운 마음은 눈처럼 새하얀 꽃이되고,

                  찔레의 서러운 운명은 빨간열매가 되었다.

                  그 뒤로 사람들은 그 꽃을 '찔레꽃'이라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찔레꽃의 꽃말은 '자매의 우애' 또는 '온화'와 '신중한 사랑'이다

 

 

   -= IMAGE 3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야생화~ 1'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딸기꽃  (0) 2008.05.28
메꽃  (0) 2008.05.27
섬초롱꽃  (0) 2008.05.18
다래꽃  (0) 2008.05.14
큰으아리꽃  (0) 2008.05.11